섬유야 놀자~
[용어설명] 섬유 이화학 시험 용어 및 기준 본문
1. 이화학 시험 용어 및 기준 | |||||||||
1) 혼용율 시험 (KSK 0210) |
|
||||||||
혼용율이란 조성섬유의 종류가 2종 이상인 섬유제품에 대해서 그 한 종류의 조성섬유의 | |||||||||
전 조성 섬유에 대한 비율을 무게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 |||||||||
이 시험에는 기계적 분리법, 용해법, 비중법 및 현미경법 등이 있다. | |||||||||
기계적 분리법을 적용할 수 있는 시료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이 방법을 사용하며, | |||||||||
기계적 분리법을 적용시킬 수 없는 시료에 있어서는 용해법 또는 비중법을 사용한다. | |||||||||
현미경법은 주로 화학적 구조가 유사한 섬유간의 혼용율을 시험할 때 사용한다. | |||||||||
2) 실의 겉보기 번수 측정 (KSK 0415) | |||||||||
실의 굵기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실의 지름 또는 단면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으나, | |||||||||
이의 실제 측정에는 여러가지 곤란하고 복잡하므로 그 간접표시법인 길이-무게의 비 | |||||||||
로써 사용하는데 항장식, 항중식 및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 |||||||||
3) 밀도시험 (KSK 0511) | |||||||||
직물의 단위 길이당에 포함되어진 경사 또는 위사의 올 수를 실의 밀도라고 한다. | |||||||||
보통 직물분해경을 사용하여 판정을 하며 밀도는 직물에 있어서 생산원가 및 기타 섬유 | |||||||||
의 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
4) 직물의 무게측정시험 (KSK 0514) | |||||||||
직물의 무게는 발주자가 의뢰한 샘플의 터치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서 중량은 섬유 | |||||||||
제품의 품질 및 외관 태에 상당한 영향을 주므로 요구하는 중량에 맞게 제품이 | |||||||||
생산되었는지 확인하는 실험이다. | |||||||||
5) 세탁 견뢰도 (KSK ISO 105-C01) | |||||||||
세탁 견뢰도 시험은 염색물이 세탁에 의하여 본래의 색상이 변하거나 다른 원단에 | |||||||||
오염되는 정도를 판정하는 것으로서, 각국의 섬유제품 품질기준 및 제품 규격에 반드시 | |||||||||
해당 급수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섬유, 실, 직물, 피복, 가정용 내장제 등 모든 섬유제품 | |||||||||
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성능이다. | |||||||||
6) 드라이크리닝 견뢰도 시험 (KSK ISO 105-D01) | |||||||||
이 시험은 드라이크리닝 제품의 상업용 드라이크리닝에서 사용하는 용제에 대한 견뢰도 | |||||||||
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드라이크리닝 후에 일어날 수 있는 제품의 변퇴, 또는 오염 | |||||||||
그리고 최근 자주 발생하는 세탁업자의 용액오염에 대한 사고를 사전에 막고자 | |||||||||
하는 시험이다. | |||||||||
7) 물견뢰도 시험 (KSK ISO 105-E01) | |||||||||
염색물의 물에 대한 변퇴색 및 피염물의 오염정도를 알기위한 시험으로서, 시험의 | |||||||||
종류에는 땀견뢰도 시험기인 퍼스피로미터를 이용하는 A법과 시험관을 이용하는 B법 | |||||||||
이 있다. | |||||||||
8) 땀견뢰도 시험 (KSK ISO 105-E04) | |||||||||
땀 견뢰도 시험은 염색물의 땀에 대한 색의 변화와 규정된 백포의 오염된 정도를 알기 | |||||||||
위한 시험이다. 염색물에 땀이 부착된 경우에 땀견뢰도가 나쁘면 색이 변화하거나 | |||||||||
속옷을 오염시키게 된다. 또는 염료중에 포함된 금속성분이 땀과함께 반응하여 변할 수 | |||||||||
있으므로 이런 변퇴색을 미리 측정하는 실험이다. | |||||||||
9) 마찰견뢰도 시험 (KSK 0650) | |||||||||
마찰견뢰도 시험은 마찰에 의해 염색물의 표면에서 다른 천으로 얼마만큼 오염이 | |||||||||
되었는가를 알기 위한 시험이다. 염색된 섬유제품의 표면을 건조, 습윤 또는 유기용제 | |||||||||
로 처리된 백포로 압력하에서 마찰하면, 섬유표면에서 착색성분 및 마찰 부산물이 | |||||||||
탈락, 용출되어서 백포를 오염시키는데 염색물의 마찰견뢰도는 주로 이러한 백포에의 | |||||||||
오염을 판정하며 특수한 경우에는시험편의 변퇴색을 특별한 마모시험기로 마모해서 | |||||||||
판정하는 수도 있다. | |||||||||
10) 일광견뢰도 시험 (KSK ISO 105-B02) | |||||||||
일광견뢰도란 염색물의 일광에 대한 변퇴색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태양광에 | |||||||||
직접 노광시키거나, 태양광과 매우 유사한 인공광원을 사용한 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며, | |||||||||
시험편과 표준청색염포 혹은 시험편만을 적당한 광원하에서 바로 눈에 띄일 수 있는 | |||||||||
정도의 퇴색에 이르기까지 퇴색시켜 시험편과 표준청색염포의 시험 전 후의 변퇴색 | |||||||||
정도를 비교하여 등급을 결정하거나 혹은 시험편이 표준퇴색 되기 까지에 소요되는 | |||||||||
표준퇴색 시간을 측정하여 등급을 결정한다. | |||||||||
11) 직물 및 편성물의 치수변화율 시험: 가정용 자동 세탁기법 (KSK ISO 6330) | |||||||||
이 시험은 직물 및 편성물의 가정용 세탁기나 상온수 침지법 등에 의 한 수축율을 | |||||||||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품의 재단이나 판매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즉 | |||||||||
소비자의 구입후 세탁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수축성을 사전에 테스트하는 | |||||||||
실험이다. | |||||||||
12) 드라이 크리닝 치수변화율 시험 (KSK ISO 3175-1) | |||||||||
이 시험은 직물 및 편성물의 드라이크리닝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수축율을 측정하기 | |||||||||
위한 것으로서 제품의 재단이나 판매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즉 소비자의 | |||||||||
구입 후 세탁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수축성을 사전에 테스트하는 실험이다. | |||||||||
13) 봉제품의 치수변화율 및 외관시험: 가정용 자동 세탁기법 (KSK 0472) | |||||||||
이 시험은 봉제품에 대한 제품의 수축율 및 세탁 후의 외관 상태를 미리 파악하여 | |||||||||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실험이다. | |||||||||
14) 직물의 필링시험: 브러시스폰지법 (KSK 0501) | |||||||||
이 시험은 피복을 착용하고 있는 사이에 마찰에 의해서 직물의 표면에 보프라기(PILL) | |||||||||
가 발생하여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문제점을 사전에 발견하기 위해 | |||||||||
테스트하는 실험이다. 실의 꼬임이 적다든지 표면의 모우가 긴것에 발생하기 쉬우며 | |||||||||
특히 합성섬유의 경우는 마찰에 의해서 정전기를 일으켜 섬유가 가지런히 된 실로부터 | |||||||||
빠져나와 보푸라기가 생기기 쉽다. | |||||||||
직물의 필링시험 방법은 브러시스폰지법이 사용되고 있다. | |||||||||
15) 편성물의 필링시험: 필링박스법 (KSK ISO 12945-1) | |||||||||
이 시험은 피복을 착용하고 있는 사이에 마찰에 의해서 직물의 표면에 보프라기(PILL) | |||||||||
가 발생하여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문제점을 사전에 발견하기 위해 | |||||||||
테스트하는 실험이다. 실의 꼬임이 적다든지 표면의 모우가 긴것에 발생하기 쉬우며 | |||||||||
특히 합성섬유의 경우는 마찰에 의해서 정전기를 일으켜 섬유가 가지런히 된 실로부터 | |||||||||
빠져나와 보푸라기가 생기기 쉽다. | |||||||||
편성물의 필링시험 방법은 필링박스법( I.C.I BOX법)이 사용되고 있다. | |||||||||
16) 인열강도 시험: 펜듈럼법 (KSK ISO 13937-1) | |||||||||
인장강도와 다른 기계적 성질로 직물을 찢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시험편의 | |||||||||
파지방법, 시험편의 모양, 인열방법 등에 따라 펜듈럼법, 텅법, 트래피조이드법 등 | |||||||||
다양한 실험방법이 있으며 제품으로서 필요한 적당한 강도에 적합한지를 측정하는 | |||||||||
실험이다. | |||||||||
17) 인장강신도 시험 (KSK 0520) | |||||||||
원단 및 실을 잡아당겨서 끊어질 때 드는 힘과 그때 늘어나는 정도를 알아보는 시험이다. | |||||||||
시험방법에는 그래브법등이 있다. | |||||||||
18) 실미끄럼저항도(솔기미어짐, 봉목활탈, seam slippage)시험 (KSK 0400, KSK 0606) | |||||||||
직물의 솔기에 일정 하중을 주었을때,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실이 미끄러져서 솔기가 | |||||||||
벌어지는 거리를 측정하는 시험방법과, 경사방향, 위사방향의 표준 솔기가 6mm | |||||||||
미끄러지는 미끄럼 저항을 시험하는 방법등이있다 | |||||||||
시험방법은 인장강도 시험의 그래브법을 사용한다. | |||||||||
19) 마모강도 시험: 마르틴데일법 (KSK 0604) | |||||||||
원단의 마찰, 압축, 인장 등의 힘에 의해 마모된 정도를 알아보는 시험이다. | |||||||||
표준 마모포에 원단을 20,000회 마찰시켜 합.불 판정을 한다. | |||||||||
20) 발수도시험: 스프레이법 (KSK 0590) | |||||||||
발수 가공한 직물 표면에 물방울을 떨어뜨릴 때 어느정도 습윤에 저항성이 있는가를 | |||||||||
측정하는 시험으로 스프레이법과 적하법이 있다. | |||||||||
이 시험은 우산지나 스키복 또는 발수가공한 천이 물방울에 대해 어느정도의 저항성을 | |||||||||
갖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 |||||||||
21) 내수도시험: 저수압법 (KSK 0591) | |||||||||
물의 누수 또는 침수에 대한 직물의 저항성을 내수도라 하며 우의, 우산지, 천막지, | |||||||||
스키복 등 방수가공 직물의 방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시험방법에는 | |||||||||
저수압법, 고수압법, 빗물시험법등이 있다. |
'섬유야! 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안자료] 섬유일반 교육자료 (0) | 2008.09.19 |
---|---|
[용어설명] KS K 섬유시험 규격 (0) | 2008.09.19 |
[용어설명] 워싱 전문용어 풀이 (0) | 2008.06.19 |
[용어설명] 레이온, 텐셀 (0) | 2008.06.16 |
[용어설명] 큐프라 (레이온) (0) | 2008.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