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안자료) 다운제품의 품질 특성 #1
1. 우모(羽毛)의 특성과 구조
1) 우모는 사람의 머리카락과 같은 성질의 게라틴(keratin)이라고 하는 경질화된 동물성 단백질로 되어 있는데 WOOL과 같은 긴 사상(絲狀)이 아니라 복잡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외부의 온․습도의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 흡습, 방습, 배수작용을 행하며 수조류(Waterfowl)의 체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생리작용을 하고있다.
2) 우모의 주산지인 중국에서도 북경산과 광주산의 품질이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3) 다운의 종류
백조털 ↑ 품질이 닭털
거위털 ↑ 우수한 참새털
오리털 ↑ 순서
4) 우모는 오리털(DUCK DOWN) 과 거위털(GOOSE DOWN)을 사용하며 거위털이 더 우수하다.
5)북위 45 ~ 53˚ 주변에서 서식 또는 사육되는 수조류의 털들이 품질이 우수한데, 찬바람과 동절기가 긴 탓으로 거위와 오리의 서식과 사육과정에서 털이 발달하기 때문이다. 폴란드와 시베리아산이 품질이 우수하다.
(육조와 수조의 외형 비교)
6) 우모의 특성
(1) 보온성
우모 클러스터(DOWN CLISTER)는 민들레의 면모(綿毛)와 같은 형태를 지니고 있어 그 작은 털가지는 서로
얽히지 않으므로 굳어지는 일이 없어 언제나 부풀어 있다.
이 부풀은 가지사이에 많은 공기를 함유하고 있어 수조류의 체온을 따뜻하게 하고 외부의 찬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2) 비용적
우모는 많은 공기를 함유하게 됨으로써 높은 벌키성을 나타낸다.
(3) 흡습 방산성
우모는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폐작용을 한다.
(4) 순간 회복율
우모는 털가지가 서로 얽히지 않고 반발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우모가 굴곡되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몇 번씩 접어도 곧 원형으로 회복됨으로써 공기층을 다시 형성하게 된다.
(Down Cluster) (깃털)
2. 중고우모(CoUCHEE, Second Handed, Used down) 식별상 특징.
1) DOWN
-취약하고 탄력이 없다.
-Down Cluster에서 쉽게 Down Fiber가 분리된다.
-다량의 Down Fiber가 Down에 의해 얽혀있다.
또한 중고 Down은 뭉치거나 말려있거나 축용되어 있고, 광택을 잃고 Barb이 손상되어 있다. 만약 중고로 보이는 Down 및 Feather 뭉치를 흑색평면위에서
흔들고 한쪽으로 조심스럽게 훑으면 다량의 작고 거친 Feather Fiber가 나타난다.
2) 깃털(Feather)
-중심축 즉 Quill shsft가 노랗다
-손상깃털(Dammageed Feather)이 많다.
-양쪽끝이 손상되어 있지 않고 단지 가운데 부분만 남아 있는 Feathe가 많이 섞여 있다.
-중심축(Quill sheft)이 부려져 있거나 부스러져 있다.
-한 쪽으로 말려있다.
-Quill이 취약하다.
이상과 같이 중고Feather는 비교적 많은 양이 부러지고 손상된 Feather 및 Feather의 부스러기가 들어있다.
중심축의 색상이 노란 것과 같은 기타 특징들이 중고우모의 여부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3. 제품에서 다운이 새어 나오는 현상을 막으려면.
1) 다운백 사용시 230T 이상의 고밀도 원단을 사용한다.
2) 적정한 다운 푸르프가공을 한다.
-공기투과도(20 ~ 60㎤/㎠/min)
-W/R(발수도) 효과는 필요하나 W/P(내수도)는 낮아도 된다.
3) 다운(DOWN) 함량이 높을 수록 좋다.
4) 깃털(Feather)의 크기는 적을 수록 좋고, 깃털에 잔털이 많은 것이 좋다.
5) 퀼팅 간격 및 크기가 많을 수록 털이 많이 나온다.
6) 봉제 방법
-미싱바늘은 볼 포인트 9호, 11호를 사용한다.
-DOWN 봉제시 땀수는 1인치(inch)당 10 ~ 11땀으로 한다.
-적정 장력을 유지한다.
-SEAM의 인터록 작업을 한다.
-퀼팅선의 다운 찝힘 현상을 제거한다.
-봉제시 다운백에 묻은 다운을 제거한다.
-HOLE 제작후 다운을 주입한다.
7) 아크릴계의 코팅제품은 절대 드라이크리닝을 하지 않는다.
※ 다운 푸르프(DOWN PROOF) : 오리나 거위의 천연소재인 우모나 합성사인 Fiberfill과 같은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를 감싸주는 직물
(표) 의류용 D/P 원단의 종류
종류
구분 |
침구용 |
의류용 | ||
속감(Down Bag)용 |
겉감용 | |||
Bag이 없는 경우 |
Bag이 없는 경우 | |||
소재 |
천연소재-면등 |
합섬(N:P=7:3) |
합섬 |
합섬 또는 면 |
밀도 |
190~230T |
250~300T |
250~300T |
180~230T |
가공 |
신징, Print |
Cir, B/D |
Cire, D/P, W/R |
Coating, W/R |
Korea Standard Guideline For Down & Feather
Labled as Item |
Down |
90/40 |
80/20 |
70/30 |
60/40 |
50/50 |
40/60 |
30/70 |
20/80 |
10/90 |
Feather |
Min Down Cluster(%) |
90 |
80 |
70 |
60 |
50 |
40 |
35 |
25 |
15 |
5 |
- |
Max Dwon and Feather Fiber(%) |
15 |
13.5 |
12 |
10.5 |
9 |
7 |
7 |
7 |
7 |
7 |
7 |
Max Damaged, Land Fowl Feather Residue(%) |
5 |
5 |
5 |
5 |
5 |
5 |
5 |
5 |
5 |
5 |
5 |
Min Fill Power(㎜) |
12 |
11 |
10 |
9 |
8 |
6 |
6 |
5 |
5 |
5 |
55 |
Oxygen Number(㎎) |
Max 10 | ||||||||||
Turbidity(㎜) |
Min 250 | ||||||||||
Goose Species ID(%) |
Min Goose Plumage 80 | ||||||||||
Moisture Content(%) |
Max 15.0 | ||||||||||
Black Point(%) |
Max 1.5 (For White Down) |
※ Test Method : KS K 0820(Same as JIS)